안녕하세요. 비바제인입니다.
저번에는 독일에서 경매로 집을 사는 방법에서부터 유의해야 할 점까지 독일 경매에 관해서 알려드렸습니다(독일에서 경매로 집 사기 - vivajain.tistory.com/22). 이번에는 독일에 새로 이민을 오셨거나 공부나 일을 이유로 거주하게 된 분들을 위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 독일에 처음 와서, 내가 지낼 집을 마련하고 임대계약서를 작성하고 열쇠를 건네받았습니다. 이제 집도 계약했겠다, 마음이 후련하고 모든 것이 끝난 것 같습니다. 짐 정리도 해야 하고 몇 가지 가구나 살림살이를 들여와야 하지만 이제 얼추 모든 것이 끝난 기분이 듭니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시작입니다. 인터넷은 되지 않아 아까운 데이터를 써야 합니다. 거주자 등록을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들었는데, 언제 어디서 그리고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보지만 어렵기만 한 독일어의 장벽은 너무나 높습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독일에 처음 입주한 후 해야 하는 일들과 주의할 점 등에 대해 중요한 정보만 모아 아래와 같은 순서로 글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1. 입주 신고 및 거주자 등록
2. 인터넷 신청 혹은 변경
3. 가스, 전기 회사 신청 혹은 변경
4. 주소 바꾸기
5. 독일에서 거주 시 주의할 점
자, 그럼 이제 첫 번째 이야기 <입주 신고 및 거주자 등록>을 시작하겠습니다. 입주 신고는 독일어로 무엇일까요? 입주 신고에 정해진 기간이 있나요? 입주 신고를 위해서 무슨 서류가 필요한가요? 머릿속에 많은 질문이 떠오릅니다. 독일에서 입주 신고를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들과 관련 독일어 단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입주 신고 (Anmeldung)
1.1 입주 신고가 무엇인가요?
독일에서 집을 구하고 나면 입주 신고를 해야 합니다. 입주 신고는 독일어로 'Anmeldung(안멜둥)'이라고 합니다. 입주 신고는 독일에 거주지가 있는 모두가 해야 하는 의무입니다(Anmeldepflicht). 독일에 온 이유가 무엇이 되었든 독일에 삼 개월 이상 거주하는 사람은 모두 이 '입주 신고'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독일 내에서 이사를 하는 경우에도 거주지를 변경(Ummeldung)해야합니다. 새로운 거주지에서 입주 신고를 하게되면 자동으로 전 주소지에 대한(Abmeldung)과 새로운 주소지로의 (Anmeldung)이 동시에 처리됩니다.
1.2 입주 신고를 언제까지 마쳐야 하나요?
입주 신고는 입주일로부터 2주 안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하지만 이 2주 안에 입주 신고를 마치지 못해도, 해당 시민 사무소(Bürgeramt)에 기간 안에 연락해서 예약을 잡았을 경우에는 기간을 지나지 않은 걸로 간주합니다. 주 또는 공무원에 따라서 며칠 정도 늦게 입주 신고를 해도 크게 개의치 않는 경우가 있지만, 기간을 지나 신고하는 경우 상당한 액수의 벌금을 낼 수 있으니 되도록 2주의 기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3 입주 신고를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입주 신고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신분증 혹은 여권(Personalausweis oder Reisepass), 집주인의 서명이 된 임대계약서(Mietvertrag, Vermieterbescheinigung 혹은 Einzugsbestätigung으로 불리기도 함), 작성이 완료된 입주 신고서(Anmeldeformular), 비자 혹은 거주 허가서 (Visum 혹은 Aufenthaltsberechtigung)가 필요합니다.
또한 가족 혹은 동거인이 있는 경우 모두가 신분증을 가지고 입주 신고 시 동행해야 합니다. 자녀가 미성년일 경우에는 자녀의 신분증 대신 출생신고서(Geburtsurkunde)를 가져가시면 됩니다. 만약 동거인이 함께 오지 못할 경우에는 위임장(Vollmacht)을 지참하시면 됩니다. 때에 따라서 혼인 신고서, 이혼 증명서 등을 가져가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첫 번째 입주 신고서에 적힌 내용은 세금 납부 클래스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1.4 입주 신고는 어디서 할 수 있나요?
입주 신고는 거주하시는 지역의 Bürgeramt에서 할 수 있습니다. 구글에 거주지 주소와 'Bürgeramt' 또는 'Anmeldung'를 함께 검색하시면 사시는 곳의 시민 사무소가 어디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1.5 코로나 때문에 시민 사무소에서 직접 입주 신고가 가능한가요?
코로나 상황에서도 입주 신고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방역법 준수를 위해 시민 사무소나 시청 등의 행정 시설은 제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온라인에서 미리 입주 신고서를 작성한 후 예약을 잡으셔야 합니다. 보통은 시민 사무소에서 예약을 잡을 수 있는 이메일 주소를 게시합니다.
1.6 미성년자입니다. 입주 신고를 해야 하나요?
미성년자인 경우 부모의 보호를 받기 때문에 입주 신고 혹은 거주지 변경 시에 부모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만 18세 이후부터는 입주 신고 의무가 해당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민 사무소에 문의하시기를 바랍니다.
1.7 정해진 기간 내에 입주 신고를 하지 못 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해진 2주 동안 입주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벌금을 내게 됩니다. 벌금의 액수는 주마다 다를 수 있는 부분이어서 제가 살고 있는 비스바덴의 예를 들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입주 후 2주 동안 시민 사무소에 입주 신고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55유로의 벌금(Verwarnungsgelder)을 냅니다. 게다가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은 벌금을 내게 됩니다. 1-3개월의 경우에는 추가로 30유로를, 4-6개월 동안 신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40유로 6개월 이상부터는 55유로의 벌금을 추가로 내야 합니다. 또한 입주를 하지 않고 허위 신고를 하는 경우에도 55유로의 벌금을 내게 됩니다. 만약 독일에 새로 입주하는 경우가 아니라 이사를 하고 거주지 변경을 하지 않으면 추가로 55유로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로 거주지의 해당 신고 사무소 사이트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2주 동안 거주지 변경을 하지 않았을 경우이니, 정해진 기간을 꼭 지켜야 합니다. 그렇지 못했을 경우에는 해당 사무소에 늦게 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설명하거나 벌금을 내셔야 합니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 2주의 기간 동안 시민 사무소 방문이 어려우신 분들은 이메일로라도 연락을 먼저 해서 일정을 조율하시길 바랍니다.
독일에 이민을 오면 이사 후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입주 신고(Anmeldung)입니다. 꼭 정해진 기간 내에 필수 서류를 지참하고 해당 거주지의 시민 사무소에서 입주 신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필수 지참 서류는 주 혹은 사무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헛걸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예약을 잡을 때 다시 한번 지참 서류를 문의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입주 신고 관련 독일어 단어>
입주 신고/거주지 변경/전출 신고 | Anmeldung/Ummeldung/Abmeldung |
입주 신고 의무 | Anmeldepflicht |
시민 사무소 | Bürgeramt |
임대 계약서 | Mietvertrag, Vermieterbescheinigung oder Einzugsbestätigung |
신분증, 여권 | Personalausweis, Reisepass |
입주 신고서 | Anmeldeformular |
비자, 거주 허가서 | Visum, Aufenthaltsberechtigung |
출생 신고서 | Geburtsurkunde |
위임장 | Vollmacht |
경고, 주의 벌금 | Verwarnungsgelder |
다음 글에서는 현대인의 필수품 '인터넷'을 독일에서 신청하는 법, 저렴한 인터넷 회사 고르는 법 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으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위의 정보는 제가 직접 알아보고 작성하였습니다. 본 게시물은 정보에 대한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으며, 자세한 정보는 각자의 상황에 맞게 해당 거주지의 시민 사무소에 직접 연락해서 문의하는 것을 추첩합니다.
비바제인의 독일 견문록은 일주일에 두 번 새로운 글이 올라옵니다. 블로그 공감과 구독은 더 좋은 글을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참고 자료:
www.sympat.me/de/wie-deutschland-anmelden/
8 Tipps - In Deutschland den Wohnsitz anmelden
Welche Dokumente muss ich haben? Wie mache ich einen Termin beim Bürgeramt? Kann ich das Anmeldeformular online ausfüllen? Wir haben die Antworten!
www.sympat.me
www.wiesbaden.de/vv/produkte/31/141010100000002627.php
Wohnsitz anmelden
Wer einen Haupt- oder Nebenwohnsitz bezieht, unterliegt nach dem Meldegesetz einer Anmeldepflicht. Die Anmeldung muss innerhalb von zwei Wochen nach dem Einzug in die neue Wohnung bei der zuständigen Meldebehörde erfolgt sein. Bei einem Zuzug aus einer K
www.wiesbaden.de
'독일 생활 견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입주 시 주의할 점 - 2. 인터넷 신청 및 연결하기 (1) | 2021.04.15 |
---|---|
외국에서 해외 송금 서비스 이용하기 - 유트랜스퍼 (0) | 2021.03.31 |
독일에서 경매로 집사기 - 4. 독일 경매 참가시 유의할 점 (4) | 2021.03.10 |
독일에서 경매로 집사기 - 3. 독일 경매 진행 방식 (2) | 2021.02.23 |
독일에서 경매로 집사기 - 2. 독일 경매 참가 방법 (0) | 2021.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