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바제인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독일에서 월세사기 2편 세부 사항 선택하기>를 주제로 추가적인 필터 옵션 추가를 통해 효과적으로 매물을 검색하는 것과 그에 관련한 독일어 단어 이야기를 해봤습니다. 오늘은 검색 결과의 세부 사항 페이지를 보는 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우선 매물을 검색한 후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다음처럼 세부 페이지가 나옵니다. 순서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순서 | 독일어 단어 | 한국어 뜻 | 사이트에 쓰인 단어의 의미 또는 관련된 정보 |
1 | Bewertung nicht veröffentlich | 평가가 공개되어 있지 않음 | 1번에 블러처리 된 것은 매물을 등록한 부동산에 대한 정보입니다. 보통 게시자가 개인이 아닌 부동산 회사일 경우에는 평점이 게재된 경우도 있습니다. |
2 | Anbieter kontaktieren | 작성자 연락하기 | 매물이 마음에 들어서 집 구경 가능 여부, 일정 조율 혹은 매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원할경우 작성자(Anbieter)에게 연락을 할 수 있습니다. 종종 포털을 통해서가 아닌 특정 전화번호나 이메일을 통해 연락하는 것을 선호할 경우 하단에 'Sonstiges'에 적혀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3 | Meine Notiz | 나의 메모 | 매물에 대한 노트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원하실 경우엔 포털에 등록을 해야합니다. |
4 | Teilen | 공유 | 매물의 링크를 다른사람에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
5 | 인쇄 | 해당 사이트 화면을 인쇄합니다. | |
6 | Melden | 신고 | 매물에 문제가 있을 경우 포털측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순서 | 독일어 단어 | 한국어 뜻 | 사이트에 쓰인 단어의 의미 또는 관련된 정보 |
1 | Adresse - auf Karte zeigen - was kostet ein Umzug hierher? |
주소 - 지도에서 위치 보기 - 이곳까지의 이사비용은 얼마? |
- 'auf Karte zeigen'을 클릭하면 매물의 대략적인 위치를 지도상에서 볼 수 있음 - 현재사는 곳과 이사할 집의 거리, 층계수, 면적 등을 입력하면 대략적인 이사비용을 알 수 있습니다. 계산을 신청하면 이메일로 정보를 받아볼 수 있으며, 해당 포털과 연계된 이삿짐 센터와 연결이 됩니다. |
2 | Fahrzeit(z.B. zur Arbeit, Kita...) - Lassen Sie sich die Fahrzeit dieser Immobilie zu anderen Orten berechnen - Ort hinzufügen |
이동 시간(예: 직장까지, 보육원까지...) - 이 매물(부동산)에서 다른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해 보세요 - 장소 추가하기 |
직장이나 학교처럼 매물과의 거리가 중요한 경우 주소를 입력해서 대략적인 이동시간 계산이 가능합니다 |
3 | Kaltmiete | (관리비를 미포함한)순수 월세 | 순수 월세는 관리비, 전기세, 수도세 등이 미포함된 '방'값을 의미합니다. |
4 | Zi. | 방의 개수 | 'Zi'는 독일어 'Zimmer'의 약자입니다. |
5 | Fläche | 면적 | 실제 거주 면적을 말합니다. |
6 | Warmmiete | 관리비가 포함된 월세 | 독일의 관리세에는 보통 쓰레기 처리 비용, 하수 처리 비용, 건물 외관 관리 비용 등이 포함되어있으며 전기세와 수도세는 미포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7 | Typ: Dachgeschoss | 타입: 옥탑방 | 독일의 옥탑방은 한국처럼 옥상에 있지 않고 건물의 가장 꼭대기 층을 의미합니다. 대게는 건물의 벽이 경사가 진 경우가 많습니다. |
8 | Etage: 4 von 4 | 층: 4층 | |
9 | Wohnfläche | 거주 면적 | |
10 | Nutzfläche | 사용 면적 | 사용 면적에는 창고, 난방 시설 관리 장소 등의 건물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면적을 의미합니다. |
11 | Bezugsfrei ab: sofort | 언제부터 입주 가능한지: 당장 | |
12 | Bonitätsauskunft -SCHUFA-BonitätsCheck anfordern |
신용 보고서 - 슈파 신용 보고서 요청하기 |
한국에서 신용등급을 책정하는 것 처럼 독일에서 집을 대여하거나 거래할 때 슈파 신용 보고서를 요구합니다. 독일에 온지 얼마 안된 분들은 슈파 신용 보고서의 내역이 없기에 집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월세를 사는 경우에는 월급 명세서나 잔고 증명서로 대체가 되기도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개별적으로 문의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13 | Zimmer | 방의 개수 | 한국에서는 거실을 제외한 방의 개수를 말하지만, 독일에서는 거실도 방의 하나로 간주합니다. |
14 | Schlafzimmer | 침실 | |
15 | Badezimmer | 욕실 | |
16 | Haustiere: Nein | 반려 동물: 불가 |
순서 | 독일어 단어 | 한국어 뜻 | 사이트에 쓰인 단어의 의미 또는 관련된 정보 |
1 | Kaltmiete - Mit lokalem Mietspiegel vergleichen |
순수 월세 - 주변 지역의 월세와 비교하기 |
근교의 다른 매물들과의 가격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2 | Nebenkosten | 관리비 | |
3 | Heizkosten - nicht in Nebenkosten enthalten |
난방 비용 - 관리비에 포함되지 않음 |
|
4 | Gesamtmiete(zzgl. Heizkosten) | 총 임대료(난방비 제외) | |
5 | Kaution o. Genossenschaftsanteile - Mieten ohne Kaution |
보증금 혹은 협동 조합 주식 - 보증금 없이 대여하기 |
보증금은 대부분 세달치 월세에 해당됩니다. 세입자는 아파트 일부의 소유자로 간주되며 아파트에 수리가 필요할 때는 보증금에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거주할 동안 아파트나 보눙에 추가적인 수리비용이 필요하지 않았다면 전액을 돌려받지만, 지급이 조금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6개월에서 1년사이). |
6 | Umzugskosten - Berechnung starten |
이사 비용 - 계산 시작하기 |
순서 | 독일어 단어 | 한국어 뜻 | 사이트에서 쓰인 단어의 의미 또는 관련된 정보 |
1 | Baujahr/Modernisierung | 건설 년도/레노비어룽 | 보통 Modernisierung과 2번의 Sanierung의 차이는, 인테리어 또는 내부 시설을 개선한 것이냐 혹은 수리를 했느냐의 차이입니다. |
2 | Sanierung - zuletzt 2014 |
수리 - 최근 수리는 2014년도에 있었음 |
|
3 | Objektzustand - Gepflegt |
매물의 상태 - 잘 보존된 상태 |
매물의 상태는 보통 gehoben(고급), gepflegt(보통), renovierungsbedürftig(수리 또는 인테리어 개선 필요)로 나뉘어 집니다. 하지만 월세는 대게 '보통'이나 '고급'의 상태가 주를 이룹니다. |
4 | Ausstattung - Normale Qualität |
시설 상태 - 보통의 품질 |
|
5 | Heizungsart - Etagenheizung |
난방 형식 - 층별 개별 난방 |
|
6 | Wesentliche Energieträger - Gas |
주요 에너지 원 - 가스 |
|
7 | Energieausweis - laut Gesetz nicht erforderlich |
에너지 인증서 - 법에 따라 필요하지 않음 |
에너지 인증서의 경우 보통 집주인이 인증서를 구비해야하며 매매를 할 경우 필수로 요구되지만 월세를 주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
이번에는 독일 부동산 포털 사이트에서 찾은 검색 결과의 상세페이지에 쓰인 독일어와 그와 관련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단어나 의미에 있어서 1, 2번 글에 중복되어 나오는 것은 추가 설명을 하지 않았으니 이전 글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독일어가 익숙지 않은 상태이거나 처음으로 독일에서 월세를 구하려고 하면 많은 부동산 용어가 이해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저의 경험을 살려 최대한 자세한 부분까지 설명하려고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글을 읽다 보면 많은 단어들이 중복되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주 쓰이는 용어들을 익혀두면 실생활이나 앞으로 독일에서 부동산 매매를 하게 될 경우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독일에서 월세를 신청하기 위한 이메일 혹은 전화 상에서 쓰일 수 있는 용어들과 정보들을 작성하겠습니다.
이 글은 어떠한 대가도 받지 않고 순수하게 정보를 드릴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을 눌러주세요. 글을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글을 읽고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바제인
'독일 생활 견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에서 온라인으로 병원 예약하기 - Doctolib (0) | 2022.01.30 |
---|---|
독일에서 월세살기 - 5. 임차인의 의무와 권리 (0) | 2021.10.25 |
독일에서 월세살기 - 2. 세부 사항 선택하기 (0) | 2021.09.04 |
독일에서 월세살기 - 1. 독일 부동산 포털에서 집(Wohnung) 찾기 (0) | 2021.09.03 |
독일 입주시 주의할 점 - 4. 전기회사 변경하기 (4) | 2021.05.11 |